단장 Insight

흉추가 flat하여 생기는 목, 어깨, 등 통증의 케이스 리포트

단장_ASMVC 2024. 12. 21. 21:20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 환자 정보 및 배경

 

대상자: 이ㅇㅇ (30대 여성)

 

주요 호소: 목과 상부 흉추 부위의 지속적 긴장과 불편감, 두통

 

원장님 코멘트: 편평등과, 역 C자 경추

 

2. 임상적 특징 및 엑스레이 소견

 

원장님 코멘트가 자세 문제를 지적하기에 사전 평가에서 sagittal plane 전척추 X-ray 척추 정렬도를 측정하였음

 

Lumbosacral Angle: 약 26도

• 정상 범위(책, 연구마다 차이가 있으나 30~50도)보다 감소.

• 개인적으로는 35도를 기준으로 전만과 후만을 판단함.

• 천골 기저부에서 충분한 전만(전방 경사)이 형성되지 않아 전체 척추 flat 할 것으로 예상.

 

Lumbar Lordosis Angle: 약 33도

• 정상 범위보다 다소 낮은 값.

 

Thoracic Kyphosis Angle: 약 25도

• 정상 범위(약 40도 ±10도)보다 낮은 값.

• 개인적으로 흉추 후만은 40도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음.

• 흉추 flat 특히 상부 흉추에서의 flat 확인.

 

*해석*

• 천골 각도 및 요추 전만, 흉추 후만의 감소로 전체 척추가 평평해지는 패턴(flat back)이 나타났다.

• 이는 경추부 정렬에 영향을 미쳐 역 C자 곡선을 형성하게 만든다.

• 척추의 정렬 이상과 시야 확보를 위한 경추의 extension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이러한 역 C자 커브 상부 흉추부 근육 긴장을 유발한다.

• 특히 상부 흉추 신전근(upper trapezius, levator scapulae)과 사각근, 승모근 상부 섬유 등의 긴장도가 증가할 수 있다.

 

3. 증상 및 문제점

 

상부 흉추부 및 경추부 근육 긴장

만성적인 근막 손상 및 통증 발생 빈도 증가

밋밋한 요추와 흉추 곡선으로 인한 충격 흡수능력 감소, 전신 자세 불균형

 

4. 관련 근육 및 관절 분석

 

관련 근육:

 

• 상부 교차증후군(Upper Crossed Syndrome) 패턴 일부가 의심됨

•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 사각근(Scalene),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등의 긴장 증가

• 심부 목 굴근(Deep cervical flexors: Longus capitis, Longus colli)의 약화로 경추부 전만 유지 불능

• 요추부에서는 장요근(Iliopsoas), 복직근(Rectus abdominis),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 등 균형이 깨져 전만 형성에 기여하는 근육들의 조정 필요

 

관련 관절:

 

• 경추부(C3~C7) 및 상부 흉추부(T1~T4) 관절 가동성 감소

• 요추-천추 이행부(L5~S1) 및 T12~L1 세그먼트의 원활한 모션 부족

• 척추 곡선이 부드럽게 형성되지 않아 각 세그먼트의 충격 흡수 및 부하 분배 비효율

 

5. 치료 목표

 

단기: 두통 및 경흉추 부위의 매뉴얼 치료를 통해 급성 통증을 해결

장기: 척추 정렬 개선을 통해 장기적인 통증 개선

 

6. 치료적 접근

 

매뉴얼 테크닉 (Manual Mobilization & Massage)

 

• 상부 흉추부 및 경추부 관절 가동술(Joint mobilization): Grade I-II 모빌라이제이션으로 흉추 신전 및 경추 굴신 범위 개선

• 연부조직 이완(Soft tissue mobilization): 상부 승모근, 견갑거근, 사각근 근막 이완(massage)을 통해 긴장 감소

• 천골 및 요추부 주변 근막 이완: 근막 리리스를 통해 천골부 밸런스 회복

 

운동치료(Exercise Therapy)

 

• 체간 안정화 운동(Core stabilization): 복횡근, 다열근(Multifidi) 활성화로 요추 전만 유지 보조

• 흉추 신전 운동(Thoracic extension exercise): 폼롤러나 벤치 위에서 상부 흉추 신전 스트레칭 및 어깨 후인-하강(Scapular retraction and depression) 강화

• 심부 경추 굴근 강화(Deep cervical flexor exercises): Chin tuck 운동 및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를 통해 경추 전만 유지 능력 개선

• 견갑 안정화 운동(Scapular stabilizing exercises):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강화 운동(예: Prone Y-레이즈, Wall slide)으로 어깨 복합체 안정성 확보

• 이러한 운동을 통해 척추의 근육 균형을 회복하고, 순차적인 만곡 패턴을 되살리며, 기능적 자세 개선을 이끌 수 있다.

 

자세교정 및 교육(Postural Education)

 

• 일상생활 중 올바른 앉은 자세, 서 있는 자세 유지 교육

• 화면 높이 조절, 작업환경 개선으로 목 전방위치(Forward Head) 감소

• 주기적 스트레칭 및 휴식 권장


아시아 스포츠 의료 봉사단 단장, 김경태 정형외과 물리치료실 실장 이경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