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도수치료(재활) 등을 할 때, 환자가 내원하여 문진하고, 평가하고, 치료하는 과정을 어떻게 진행하시나요?
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지금의 저에게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프로세스가 되었지만, 이 과정을 정립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환자 경험이 적은 치료사라면, 제가 사용하는 이 프로세스를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뭐 이런 당연한 이야기를 적어놨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는 것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은 다릅니다.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한 번 점검해보세요.)
1. 의사의 진료 기록 검토
환자가 내원하기 전, 치료사는 먼저 의사의 진료 기록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의학적 소견과 환자의 주요 증상을 미리 파악하면, 면담 전에 특별한 손상이나 이상 소견이 있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이후 면담과 평가를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환자 면담 및 히스토리 확인
환자와 면담을 통해 “문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어떤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하는지, 평소 생활 습관은 어떠한지” 등 구체적인 정보를 듣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환자의 현재 상태뿐 아니라 일상과 관련된 요소까지 폭넓게 살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가 치료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특수 원인 평가
면담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먼저 특수(Special)한 원인을 확인하는 평가를 진행합니다.
‘특수한 원인’이란 주로 근육, 인대, 연골 등 특정 조직의 손상을 의미합니다.
구조적 파열이나 명확한 손상이 확인된다면, 이를 중점적으로 치료하는 기법을 우선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인대 손상 시 안정화 훈련이 필요하며, 근육 파열의 경우 적절한 고정과 재활 계획이 요구됩니다.
4. 추가적 평가: 영상 검사 및 자세 분석
특수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영상 검사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문제를 탐색합니다. (자세 불균형, 근육 긴장도 등)
특히 전척추 엑스레이를 통해 자세와 근골격계 정렬 상태를 확인하면, 불균형한 하중 배분이나 특정 근육군의 긴장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 증상과 잠재적 요인을 결합해 정교한 치료 계획을 세웁니다.
5. ROM(가동 범위) 및 근육 기능 평가
이후 환자의 주요 증상과 영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동 범위(ROM)를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Passive Range of Motion(PROM)**과 **Active Range of Motion(AROM)**을 구분해 진행합니다.
PROM 평가는 관절 자체의 유연성(강직 유무)을 확인하며, AROM 평가는 근육의 기능적 움직임과 실행 능력을 살핍니다.
만약 AROM에 제한이 있다면, 이는 근육 약화나 통증으로 인해 능동적 동작 수행이 어려운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MMT(Manual Muscle Testing)**와 CKC(Closed Kinetic Chain) 동작을 활용해 근육 기능을 세밀히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다리 근육이 불안정한 경우, 스쿼트 같은 CKC 동작을 통해 실제 일상에서의 근육 작용 방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치료 기법 선택 및 적용
이 모든 평가를 바탕으로 특정 테크닉을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적용합니다.
Mobilization, Manual Massage, Exercise 등 다양한 도수치료 기법 중, 환자의 구조적 및 기능적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개선할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테크닉 자체에 집착하기보다는 환자의 증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필요한 부분을 직접 교정하고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대부분의 도수치료 적응증에 효과적입니다.
7. 치료 결과 점검 및 숙련도 확인
동일한 프로세스를 충실히 따른 경우에도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치료사의 테크닉 숙련도를 점검해야 합니다.
우수한 이론과 지식도 이를 얼마나 능숙하고 정확하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치료 효과는 달라집니다.
실제로 기본적인 치료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고가의 교육에 수천만원을 쓰는 경우를 너무나도 많이 보았습니다.
지식은 존중받아야 하지만, 기술이 소홀히 여겨지는 경향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합니다.
반드시 능숙도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같이 공부하는 동료들, 친구들과 서로 치료에 대한 감각을 공유하면서 공부하세요.
'단장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터(병원 물리치료실)를 운영하고 싶은 물리치료사(트레이너)가 생각해봐야 할 것 (5) | 2024.12.25 |
---|---|
왜 한국 물리치료사는 미국 물리치료사가 되고 싶어할까? 한국에서 개선할 수 있는 점은?? (1) | 2024.12.25 |
물리치료 시장의 변화와 마케팅 필요성 (7) | 2024.12.24 |
2027년부터 프로축구의 승강제 구조가 바뀝니다. 의무팀은 어떻게 될까요? (3) | 2024.12.22 |
흉추가 flat하여 생기는 목, 어깨, 등 통증의 케이스 리포트 (1) | 2024.12.21 |